통·반장 살피미···우편물적체 가정 점검
의심세대 파악, 위기가구 적극 발굴

노원구청이 전국 최초로 지난 1월부터 복지 사각지대 발굴을 위해 지역 내 모든 세대의 ‘대문 살피기’에 나섰다고 8일 밝혔다.
노원구청은 기존 복지 시스템으로는 고독사, 자살 등을 막는데 한계가 있다고 판단, 19개 동 715명의 통장, 1721명의 반장을 대문 살피미로 지정하고 동별로 월 2회 ‘대문 살피기’에 나선다. 이 날에는 아파트와 오피스텔, 일반주택을 돌며 세대 우편함에 고지서나 독촉장 등이 쌓여있는지 확인한다.
살피미들은 위기 가구로 의심되면 직접 문을 두드려 보고 확인이 어려운 경우에는 관리사무소나 부동산 중개사무소, 이웃 등을 통해 세대 상황을 파악한다. 또 고시원, 여관, 찜질방의 경우에는 건물관리인 등을 통해 장기투숙자를 모니터링 한다.
복지 소외 대상이 확인되면 구와 동주민센터를 통해 맞춤 복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정보를 공유한다.
대문살피기 사업이 시작된 지난 1~2월 2개월간 우편물 쌓여있는 200여 세대를 확인하고 이 가운데 복지 사각지대 2건을 발굴하고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6건 연계했다.
우편물이 쌓여있던 월계2동 A가구의 경우, 서류상으로는 치매 어르신과 자녀가 거주하는 것으로 돼 있었으나 실제는 치매 어르신 혼자 거주 중이었고, 아파트 관리비 체납으로 임대아파트 재계약이 어려운 상황이었다.
구청은 관리비를 지원해 재계약할 수 있도록 하고 돌봄SOS를 연계해 일주일에 한 번씩 요양보호사가 방문하여 병원동행, 식사 준비 등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상계3·4동의 B가구는 뇌출혈로 인한 언어 장애와 거동이 불편한 중장년 1인 가구였다. 집 안 쓰레기 적체가 심각해 동주민센터와 똑똑똑 돌봄단이 청소를 하던 중 수도와 난방이 공급되지 않는 것을 확인 임시거소를 마련해 이주시키고 사례관리 대상자로 선정했다.
이후 긴급 생계지원, 주거지원과 기초생활수급자로 신청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도록 했다.
구청은 지난해부터 기초수급 심사 부적합자에 대해, 선정 과정에서의 오류나 다른 권리구제 방법 등을 찾아보는 ‘복지더채움’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작년 한 해에만 996명을 다시 살펴 이 중 84명을 구제했다.
오승록 구청장은 “동네를 잘 아는 통반장을 통해 주민동향 파악이 용이하다는 이점을 활용하여 직접 위기가구 발굴에 나서고 있다”며 “가까운 이웃의 위험신호를 적극적으로 살피며 한 사람도 소외되지 않도록 촘촘한 복지망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통·반장 살피미···우편물적체 가정 점검
의심세대 파악, 위기가구 적극 발굴
노원구청이 전국 최초로 지난 1월부터 복지 사각지대 발굴을 위해 지역 내 모든 세대의 ‘대문 살피기’에 나섰다고 8일 밝혔다.
노원구청은 기존 복지 시스템으로는 고독사, 자살 등을 막는데 한계가 있다고 판단, 19개 동 715명의 통장, 1721명의 반장을 대문 살피미로 지정하고 동별로 월 2회 ‘대문 살피기’에 나선다. 이 날에는 아파트와 오피스텔, 일반주택을 돌며 세대 우편함에 고지서나 독촉장 등이 쌓여있는지 확인한다.
살피미들은 위기 가구로 의심되면 직접 문을 두드려 보고 확인이 어려운 경우에는 관리사무소나 부동산 중개사무소, 이웃 등을 통해 세대 상황을 파악한다. 또 고시원, 여관, 찜질방의 경우에는 건물관리인 등을 통해 장기투숙자를 모니터링 한다.
복지 소외 대상이 확인되면 구와 동주민센터를 통해 맞춤 복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정보를 공유한다.
대문살피기 사업이 시작된 지난 1~2월 2개월간 우편물 쌓여있는 200여 세대를 확인하고 이 가운데 복지 사각지대 2건을 발굴하고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6건 연계했다.
우편물이 쌓여있던 월계2동 A가구의 경우, 서류상으로는 치매 어르신과 자녀가 거주하는 것으로 돼 있었으나 실제는 치매 어르신 혼자 거주 중이었고, 아파트 관리비 체납으로 임대아파트 재계약이 어려운 상황이었다.
구청은 관리비를 지원해 재계약할 수 있도록 하고 돌봄SOS를 연계해 일주일에 한 번씩 요양보호사가 방문하여 병원동행, 식사 준비 등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상계3·4동의 B가구는 뇌출혈로 인한 언어 장애와 거동이 불편한 중장년 1인 가구였다. 집 안 쓰레기 적체가 심각해 동주민센터와 똑똑똑 돌봄단이 청소를 하던 중 수도와 난방이 공급되지 않는 것을 확인 임시거소를 마련해 이주시키고 사례관리 대상자로 선정했다.
이후 긴급 생계지원, 주거지원과 기초생활수급자로 신청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도록 했다.
구청은 지난해부터 기초수급 심사 부적합자에 대해, 선정 과정에서의 오류나 다른 권리구제 방법 등을 찾아보는 ‘복지더채움’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작년 한 해에만 996명을 다시 살펴 이 중 84명을 구제했다.
오승록 구청장은 “동네를 잘 아는 통반장을 통해 주민동향 파악이 용이하다는 이점을 활용하여 직접 위기가구 발굴에 나서고 있다”며 “가까운 이웃의 위험신호를 적극적으로 살피며 한 사람도 소외되지 않도록 촘촘한 복지망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